산업뉴스

제목 "아이폰 300만원 된다고?" 미국인도 '패닉'...관세 폭탄, 부메랑 됐다
작성일 2025-04-12 조회수 27
"아이폰 300만원 된다고?" 미국인도 '패닉'...관세 폭탄, 부메랑 됐다

2025-04-12 27


"아이폰 300만원 된다고?" 미국인도 '패닉'...관세 폭탄, 부메랑 됐다  

 

 

[머니투데이 변휘 기자, 이영민 기자] "상호관세 전 아이폰 사자"…미국서 애플 '패닉 바잉'
애플 '최대 104%' 中 관세 피하려 인도 조달분 늘려
미 의류 기업들은 방글라데시 등 주문 취소 잇달아…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서 참석자들이 새로운 아이폰16 시리즈를 체험하고 있다. 2024.09.09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폭탄'이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까지 충격에 빠뜨렸다. 오는 9일 초고율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미국 기업들은 해외 제조업체 대상의 발주를 취소하고 소비자들은 가격 인상을 대비해 '사재기'에 뛰어들었다. 백악관도 관세 파장을 의식해 무역상대국들의 보복 관세로 어려움을 겪게 될 미국 수출기업 지원책을 검토하고 나섰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주말 미국 전역의 애플 매장에 아이폰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몰렸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애플 스토어 한 직원은 블룸버그에 "거의 모든 고객이 곧 아이폰 가격이 오르는지 물었다"며 공황 상태에서 아이폰을 구매했다고 말했다.

이는 전 세계 아이폰 출하량의 70%를 담당하는 중국 정저우의 폭스콘 공장이 관세 직격탄을 맞기 때문이다. 실제로 UBS는 이날 보고서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 시 아이폰 가격이 최대 30%가량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 미국에서 1599달러(약 235만원)에 팔리는 아이폰16 프로( 1TB) 모델이 최대 2078달러(306만원)까지 뛰는 셈이다.

애플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중국의 초고율 관세를 피하려 인도에서 미국으로 조달하는 아이폰 수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상대로 기존의 20% 관세에 더해 34%의 상호관세를 추가해 54%를 부과할 계획이다. 또 중국의 보복 조치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50%를 추가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는데, 현실로 이어지면 미국의 대중 관세는 총 104%가 된다.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는 26%의 관세가 그나마 저렴해 보인다. 애플이 임시 조치로 인도 카드를 꺼내든 배경이다.


 

 



애플 주요제품의 생산국가 및 미국의 관세율/그래픽=김현정

미국 내 여러 소비재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AFP통신은 세계 2위의 의류 생산국 방글라데시에 미국 기업들의 발주 중단 통보가 쏟아진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방글라데시의 대미 수출은 약 84억달러 규모였는데, 이 중에서 약 80%는 섬유와 의류 생산이 차지했다. 미국은 방글라데시에 37%의 상호관세를 9일부터 부과한다.

방글라데시 신발·가죽제품 기업의 이사인 모하마드 무슈피쿠르 라흐만은 AFP에 "6일 미국 구매자 1명으로부터 30만달러 상당 가죽제품의 선적을 중단해달라는 서한을 받았다"며 "오랜 구매자였던 그와 우리 모두 난처한 처지"라고 말했다. 앞서 무함마드 유누스 방글라데시 임시정부 수반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부과의 3개월 유예'를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변을 듣지 못했다.

증시 급락에 초연한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도 실물 경제 추락에는 경계하는 표정이다. 블룸버그는 정책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내 수출기업에 세액공제를 지원해 무역 상대국의 보복관세 부담을 상쇄하는 방안을 백악관이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상품과 더불어 해외로 서비스를 수출하는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백악관 경제고문 중 일부가 트럼프 행정부 무역정책의 건전성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수입업체들을 위한 지원책은 트럼프 행정부 역시 지원 카드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관세 정책으로 가장 즉각적 영향을 받는 것은 해외 무역파트너의 상품 구매 부담이 늘어나는 미국 수입업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업체도 이익이 되도록 세액공제를 설계하려 하지만, 이는 만들기란 더 어렵다"고 덧붙였다. 

 


[2025-04-08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