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뉴스
제목 | 글로벌 신발시장과 운동화디자인의 중요성 | ||
작성일 | 2024-10-02 | 조회수 | 542 |
글로벌 신발시장과 운동화디자인의 중요성
2024-10-02 542
글로벌 신발시장과 운동화디자인의 중요성
1.운동화 시장의 중요성
전 세계 신발 시장은 코로나 전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운동화 카테고리는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운동화 시장은 4조 원, 글로벌 운동화 시장은 이미 1,000억 달러를 규모를 넘어섰다. 지난 30년 넘게 부동의 1위를 지키던 나이키의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했지만, On러닝과 호카와 같은 신흥 브랜드들의 매출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체 운동화 시장에 엄청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중국의 안타, 리닝, Xtep과 같은 브랜드들이 온라인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 판매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5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볼 수 없었던 수많은 마이크로 브랜드들이 자신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개성 있는 디자인으로 온라인 마켓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기다며 운동화 시장을 더욱더 풍성하게 하고 있다.
2.디자인의 중요성
한때 신발 제조의 메카였던 부산에서 대부분의 개발/생산공장이 중국이나 베트남으로 넘어간지도 이미 십여 년이 훨씬 넘었다. 결국 생산공장은 노동력이 더 싼 국가로 계속 옮길 수밖에 없는 현실이고, 머지않아 오토메이션이 이를 대체할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한국의 신발산업이 살아남는 방법은 디자인밖에 없다.
나이키, 아디다스 등 글로벌 브랜드는 전 세계를 무대로 디자이너 영입하고, 자체적인 디자인 워크숍, 디자인 라이브러리 활용, 크로스 카테고리 등을 통해 디자이너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자체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디자인을 통해 기능적 혁신을 창조하고 트렌드를 이끄는 브랜드의 공통점이자 필수이다. 그들은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토론 문화와 주기적인 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더욱더 발전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 제품 디자인 회사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서로의 다른 관점과 아이디어가 창의적인 영감과 자극이 되도록 하고 있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는 전 세계 패션과 경제의 아이콘인 뉴욕에 헤드쿼터를 오픈하였는데, 뉴욕 디자인팀을 운영하면서 차별화된 디자인 역량 높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다양한 디자인 예시
국내 브랜드들의 무분별한 디자인 카피제품들은 이미 한 장르처럼 여겨질 정도이다. 하지만 이제 AI가 웬만한 카피 디자인을 생성하는 시대가 왔고, 남들을 따라 하던 디자이너들은 조만간 직업을 잃게 될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생각하는 힘과 창조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디자이너가 필요한 것이다.
15년 전부터 중국 운동화 브랜드들은 미국 포틀랜드에 지사를 열고 능력 있는 나이키, 아디다스 디자이너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디자인 카피의 한계를 깨달았고, 자신들의 브랜드 가치와 창의적인 제품개발 또한 저해한다는 것도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창의적인 디자이너들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들은 생각에만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과감한 실행을 하기 시작했다. 그 브랜드는 안타와 리닝이고, 이제 안타는 작년 연 매출이 10조를 넘어선 거대 브랜드가 되었다. 우리가 중국의 짝퉁 제품을 우습게 보고 비하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중국 스포츠 브랜드로부터 배워야 할 점들이 더 많다.
첫 번째는 브랜드/회사에서의 능력 있는 글로벌 디자이너를 영입하고, 이를 위해 핵심 조직/팀의 영어 소통을 의무화하는 등, 파격적으로 실행한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현대/기아자동차에서 피터 슈라이어와 루크 동커볼케같은 글로벌 탑 디자이너의 영입은 디자인의 일취월장과 브랜드 가치의 향상의 결과로 이어졌다.
두 번째는 디자이너의 육성이다. 물론 안타와 리닝에서 글로벌 디자이너 영입 초기에 상당한 우여곡절도 많았다. 국가/인종/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한 팀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당연히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그들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시도한 결과, 자신들만의 디자인팀 컬처와 육성 시스템을 만들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현시점에서 안타와 리닝의 운동화 디자인 레벨은 월드클래스이고, 나이키/아디다스 대비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실로 무서운 브랜드가 되었다.
저자가 15년전 국내 운동화브랜드의 디자인컨설팅을 시작해서 몇년전까지 체험한 바로는, 대부분의 국내 브랜드들이 해외디자이너 채용이나 국내 디자이너 양성에 대해서 상당히 소극적이다. 주저하고 눈치보고 망설이는 사이에 중국 브랜드들과의 격차는너무나 크게 벌어진 상황이다. 고무적인 부분은 데상트에서 부산R&D센터를 오픈하면서 디자이너를 포함한 해외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디자이너가 창의적인 생각으로 창조를 하는 프로세스에서 다른 관점과 시각을 포용하는것은 어쩌면 필수요소이다. 그런 점에서 해외 다른 문화권, 다른 브랜드에서 경력을 쌓은 디자이너와의 교류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자극을 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국내 디자이너들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쌓고 실력을 향상할 수 있을까?
다음편에서는 글로벌 수준의 신발디자인교육과 해외사례들, 그리고 부산에 신발디자인센터를 건립하는 아이디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성호동
전문 퍼포먼스 운동화 디자이너
전 세계 20여 개 브랜드에서 400개 이상 프로젝트 디자인 및 컨설팅
Industrial Design, 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Australia)
Globe Skateboarding (Australia)
NIKE Running(U.S.A)
JORDAN Brand(U.S.A)
NIKE Basketball (U.S.A.)
ADIDAS Innovation Team (Germany)
Indashoe Footwear Design Consul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