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트랜드
제목 | "가장 친환경적인 옷, 옷장 속 헌옷이죠" | ||
작성일 | 2023-10-31 | 조회수 | 172 |
"가장 친환경적인 옷, 옷장 속 헌옷이죠"
2023-10-31 172
입을 옷이 없다고 한 벌, 예쁘다고 한 벌, 계절 바뀐 김에 한 벌씩 옷을 사다 보면 어느새 가득 찬 옷장에 난감해진 경험이 누구나 있었을 것이다.
옷장을 비워보자 결심해도 유행 지난 옷은 중고 판매도 쉽지 않고 그렇다고 버리려니 새 옷이나 다름없어 아깝고 죄책감이 든다.
그렇게 옷들은 계속 옷장 속에 쌓여 있다가 결국 의류 폐기업자의 손을 타고 여러 개발도상국으로 넘어가 헌 옷의 ‘쓰레기 산’을 만든다.
2020년 활동을 시작한 ‘다시입다연구소’는 한국에서만 매년 8만 톤씩 버려지는 이런 의류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실천 방안을 고민하는 단체다.
목표는 간단하고 분명하다.
사람들이 새 옷을 사지 않는 대신 바꿔 입고 고쳐 입으며 옷의 쓰임이 다할 때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의류 순환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다.
정주연(사진) 다시입다연구소 대표는 “지속 가능한 의생활을 선호하며 천연이나 재활용 소재로 만든 옷이 주목받고 있는데 그보다 더 친환경적인 옷은 우리 옷장 속 헌 옷”이라며 “친환경적 새 옷을 사기보다는 무엇 하나라도 함부로 버려지지 않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시입다연구소를 대표하는 ‘21% 파티’는 바로 이런 ‘옷장 속 옷’이 순환되도록 기획됐다.
참가자들은 옷장 속 옷을 꺼내 서로 교환한다.
21%라는 숫자는 자체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낸 옷장 속 방치되는 옷의 비율에서 따왔다.
정 대표는 “처음에는 의류 순환 문화를 알리는 데만 집중해 서명이나 해시태그 운동을 주로 했는데 말만 하기보다는 우리가 직접 실천할 수 있는 일을 해보자 싶었다”며 21% 파티의 시작을 떠올렸다.
스무 명 남짓으로 시작된 파티는 어느덧 한 번 열면 150명가량은 너끈히 모이는 대규모 행사로 자리 잡았다.
장소와 횟수 역시 확장되고 있다.
지난 토요일 서울 인사동에서 열린 파티가 일요일은 인천, 이번 주는 대전에서 열리는 식이다.
정 대표는 “교환 비율도 처음에는 56%였지만 이제는 80% 수준까지 올랐다.
파티에서 남는 옷이 몇 벌 없는 셈”이라며 “3팀 정도 서포터스를 발굴해 내년에는 전국적으로 21% 파티를 열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포부를 비쳤다.
연구소는 자신의 옷과 신발을 고쳐 입는 삶을 제안하며 수선 문화 도입에도 앞장서고 있다.
조만간 서포터스인 ‘수선혁명단’을 꾸리고 수선 자랑 대회도 열 참이다.
정 대표는 “완벽하지 않고 불완전한, 조금은 삐뚠 바느질이더라도 내가 직접 옷과 신발을 고치며 경험하는 행복이 기대 이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소비자들의 노력만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다.
법이 바뀌어야 하고 기업이 움직여줘야 한다.
정 대표는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편의나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불필요한 옷을 대량 생산하고 팔지 못하면 브랜드 이미지를 지키겠다며 멀쩡한 옷을 소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옷이 되지 못한 채 버려지는 폐섬유만 연 36만 톤이니 몰래 폐기되는 재고까지 더하면 엄청난 규모일 테다.
그가 이른바 ‘패션 기업의 재고 폐기 금지법’ 제정을 위해 앞장선 이유다.
법안은 기업에 의류 폐기량과 이유 등에 대한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고 재고를 자선단체 등에 기부하면 세금을 감면해주는 내용을 담았다.
11월 발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 대표는 “프랑스는 이미 재고 폐기 금지를 법으로 정했고 스페인도 내년부터 불법 폐기가 발각될 경우 벌금을 매기도록 했다”며 “우리 역시 시대에 뒤처진 ‘패스트 패션’을 끝내고 처음부터 적게 생산하고 설령 버려지더라도 다시 수거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경제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런 활동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소비 문화의 변화를 꿈꿨다.
소비를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비에 책임지는 문화다.
그는 프랑스 대사관과 문화원 등에서 일하며 유럽 생활을 하는 동안 사람들이 매일 똑같은 옷을 입고 출근하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고 구멍 난 패딩을 스카치테이프 한 장 붙인 채 계속 입고 다녀도 누구 하나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가 무척 좋았다고 했다.
“우리도 친환경에 대한 관심과 저성장 기조가 맞물리며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책임 있는 소비를 지향하는 문화가 싹트고 있어요. 제게 ‘21% 파티가 생긴 후 단 한 벌도 새 옷을 사지 않았다’고 자랑하는 친구들도 있었는데 그 말이 정말 짜릿했죠. 더 많은 분들이 새 옷을 사지 않고도 스타일과 개성을 뽐내기를 바라봅니다.
[2023-10-29 서울경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