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통계자료
제목 |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2 | ||
작성일 | 2024-11-09 | 조회수 | 324 |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2
2024-11-09 324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2
중소형 규모(20~49명)의 사업체에서 전반적으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사자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타 신발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에서 중형 사업체의 증가가 두드러짐
중형 사업체(50명 이상)는 일부 감소하고 있어, 사업체의 경쟁력이 약화되었거나 소규모화되고 있음을 시사함
구두류 제조업은 종사자와 사업체 수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며, 이 부문에서는 산업 축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타 신발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중소형 사업체(20~49명)에서 활발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줌
따라서, 가죽 및 신발 제조업은 중형 사업체 중심의 성장과 함께 대형 사업체의 축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특정 산업 부문에서 차별화된 성장 경향이 보임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과 기타 신발 제조업에서 중소형 사업체(10억~50억)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이는 산업 내에서 가장 활발한 범주임을 나타냄
구두류 제조업은 (5억 미만 및 50억 이상)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전체적인 산업 축소 경향이 있음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50억 이상)의 증가가 두드러지며,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사업체가 산업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음
전체적으로 가죽 및 신발 관련 산업은 중소형 사업체(10억~50억)의 성장이 돋보이는 한편, 일부 규모가 큰 사업체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산업 구조가 양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은 (10억~50억) 및 (100억~300억) 사업체에서의 성장이 돋보이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구두류 제조업에서는 (400억~1000억)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대형 사업체가 구두 산업의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음
기타 신발 제조업은 (100억~1000억) 사업체가 지속적으로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비와 급여액 모두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임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2021년의 감소세를 뒤집고, (50억~300억) 사업체를 중심으로 강한 회복세를 보임
따라서, 2022년에는 가죽 및 신발 제조업 전반에서 동시에 성장하고 있으며, 각 산업 분야에서 주요 생산비와 급여액의 증가가 산업 확장과 안정성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보여줌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 (10억~50억) 사업체의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2022년에는 유형자산 증가가 눈에 띄며 (100억~300억)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구두류 제조업: (400억~1000억)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이들이 전체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중소형 사업체도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음
기타 신발 제조업: (100억~300억) 사업체가 산업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부가가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400억~1000억)에서는 2022년 약간의 감소가 보임
신발 부분품 제조업: (50억~100억) 사업체가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100억~300억)에서는 부가가치와 유형자산이 감소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함
결론적으로, 중소형 사업체가 전반적으로 부가가치 창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형 사업체는 구두류 제조업과 기타 신발 제조업에서 여전히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2022년에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유형자산 증가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부가가치는 꾸준히 증가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음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으며, 대부분의 근로자가 상용근로자이며 고용 구조가 안정적이고, 임시 근로자나 기타 종사자의 비율이 매우 적음
구두류 제조업: 남성 종사자 비율이 높으며, 기타 종사자가 전체 종사자의 25.3%를 차지해 협력업체 또는 외주 인력의 비중이 높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용근로자 비율이 68.3%로 상대적으로 낮아, 다른 산업에 비해 고용 구조가 다양함
기타 신발 제조업: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용근로자 비율이 93.6%로 매우 높으며 안정적인 고용 구조를 보여주며, 임시 근로자의 비율이 낮음
신발 부분품 제조업: 남성 종사자가 약간 더 많고, 임시 및 일용근로자의 비율이 14.9%로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는 수요 변동에 대응하는 유연한 고용 구조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함
결론적으로,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과 기타 신발 제조업은 여성 고용 비율이 높거나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용근로자의 비율이 높아 안정적인 고용 구조를 보임
반면, 구두류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에서는 남성 종사자 비율이 더 높고 고용 형태가 다양하며, 특히 구두류 제조업에서는 기타 종사자의 비중이 높아 산업 특성에 따른 고용 구조가 다양하게 나타남
이일형
지오힐 대표/경남정보대학교 신발패션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