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통계자료

신발통계자료

제목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1
작성일 2024-11-09 조회수 473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1

2024-11-09 473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10차 산업분류, 등록기준, 10인 이상) 신발산업 통계 1

  

구두류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이 특히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수요 변화 또는 산업 구조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임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과 기타 신발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지만, 큰 폭의 성장은 없음

이러한 추세는 신발 및 가죽 제품 산업에서 혁신이나 시장 수요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성을 시사함

 

 신발제조업 종업원수 (10인 이상)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과 구두류 제조업은 2021년에 감소했다가 2022년에 다시 회복으며 이는 고용 시장이 산업의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함

기타 신발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는데 이는 신발 산업 내 일부 카테고리에서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고용이 확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전체 고용은 2021년에 잠시 감소했으나, 2022년에 다시 2020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고용 추세를 보여줌

결론적으로, 가죽 및 신발 제조업 분야에서 2021년에는 고용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으나, 2022년에 다시 회복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업체수의 감소와는 다른 양상을 보임

신발제조업 종업원수 및 급여액 (10인 이상)

급여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22년에는 전체적으로 8.4%의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함

각 산업별로 급여액이 증가한 것은 인건비 상승, 산업의 회복 또는 성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기타 신발 제조업과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고용과 급여 모두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해당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나타냄

결론적으로, 2022년은 가죽 및 신발 제조업의 고용과 급여 면에서 전반적으로 회복과 성장을 보인 한 해로 해석할 수 있음

신발제조업 사업체수 및 출하액 (10인 이상)

 

2022년 신발제조업 기타 현황

2022년의 가죽 및 신발 제조업에서의 사업체 수, 주요 생산비, 부가가치, 유형자산 연말잔액에 대한 분석 함

1.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

사업체 수: 22/주요 생산비: 90,833백만원 /부가가치: 44,096백만원 /유형자산 연말잔액: 40,289백만원

분석: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의 경우, 주요 생산비가 90,833백만원인 반면, 부가가치는 약 절반인 44,096백만원으로 이는 이 부문에서 발생하는 생산비 대비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시사하며, 높은 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음

유형자산 연말잔액이 40,289백만원으로 자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음

2. 구두류 제조업

사업체 수: 128/ 주요 생산비: 411,237백만원 / 부가가치: 478,475백만원 /유형자산 연말잔액: 410,914백만원

분석: 구두류 제조업은 주요 생산비(411,237백만원)보다 부가가치(478,475백만원)가 더 높아 이는 생산성 및 효율성이 높아, 투입 비용 대비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임을 보여줌

유형자산 연말잔액 또한 410,914백만원으로, 자산이 풍부하고 안정적인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3. 기타 신발 제조업

사업체 수: 98/ 주요 생산비: 661,920백만원 / 부가가치: 377,216백만원 / 유형자산 연말잔액: 315,796백만원

분석: 기타 신발 제조업은 주요 생산비(661,920백만원)에 비해 부가가치(377,216백만원)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는 이 부문에서 투입된 자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부가가치 창출을 의미하며, 원가 절감이나 효율성 개선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함

유형자산 연말잔액이 315,796백만원으로, 자산은 비교적 큰 편이나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

4. 신발 부분품 제조업

사업체 수: 98/ 주요 생산비: 186,947백만원 / 부가가치: 139,684백만원 /유형자산 연말잔액: 105,643백만원

분석: 신발 부분품 제조업은 주요 생산비(186,947백만원)와 부가가치(139,684백만원)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이는 비교적 효율적인 생산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함

유형자산 연말잔액이 105,643백만원으로, 자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원가 절감과 생산성 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음

5. 전체 합계

사업체 수: 346/ 주요 생산비: 1,350,937백만원 / 부가가치: 1,039,471백만원 / 유형자산 연말잔액: 872,642백만원

종합 분석:

전체 산업에서 주요 생산비는 1,350,937백만원이며, 부가가치는 1,039,471백만원으로, 총 생산비 대비 부가가치 비율은 약 76.9%으로 이는 투입 자원 대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산업임을 의미함

구두류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반면, 기타 신발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함

유형자산 연말잔액은 872,642백만원으로, 산업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자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래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흠

 

임가공품목별 사업체수 및 수입액

2021년과 2022년의 임가공(위탁가공) 관련 사업체 수, 임가공 수입액,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1. 제조업(임가공)

사업체 수 변화 2021: 13,1372022: 13,700(+563개 증가)

임가공 수입액 변화: 2021: 38,298,504백만원 2022: 44,057,029백만원 (+15.0% 증가)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 2021: 2,915백만원 2022: 3,216백만원 (+10.3% 증가)

제조업 임가공 부문에서는 2021년 대비 2022년에 사업체 수와 임가공 수입액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임가공 수입액이 15% 증가하면서, 업체당 평균 수입액도 10.3% 증가함

이는 전체적으로 임가공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개별 업체의 성과도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냄

2. 기타 가죽제품(임가공)

사업체 수 변화: 2021: 52022: 5(변화 없음)

임가공 수입액 변화: 2021: 8,579백만원 2022: 9,822백만원 (+14.5% 증가)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 2021: 1,716백만원 2022: 1,964백만원 (+14.5% 증가)

기타 가죽제품 임가공 부문은 사업체 수에는 변화가 없으나, 임가공 수입액과 업체당 평균 수입액이 14.5%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존 업체들이 더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이 부문에서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줌

3. 구두류(임가공)

사업체 수 변화: 2021: 102022: 16(+6개 증가)

임가공 수입액 변화: 2021: 13,475백만원 2022: 126,194백만원 (+837% 증가)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 2021: 1,348백만원 2022: 7,887백만원 (+485% 증가)

구두류 임가공 부문에서 2022년에 임가공 수입액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사업체 수가 6개 증가한 것에 비해 임가공 수입액은 837%나 증가했으며, 업체당 평균 수입액도 485% 증가함

이는 구두류 관련 시장에서 임가공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시사함

4. 기타 신발(임가공)

사업체 수 변화: 2021: 92022: 12(+3개 증가)

임가공 수입액 변화: 2021: 4,289백만원 2022: 9,184백만원 (+114% 증가)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 2021: 477백만원 2022: 765백만원 (+60.4% 증가)

기타 신발 임가공 부문도 사업체 수와 수입액 모두 증가하였으며 임가공 수입액이 114% 증가했으며, 업체당 평균 수입액도 60.4% 증가함

이는 이 부문에서 임가공의 수요가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냄

5. 신발 부분품(임가공)

사업체 수 변화: 2021: 292022: 31(+2개 증가)

임가공 수입액 변화: 2021: 22,625백만원 2022: 26,978백만원 (+19.2% 증가)

업체당 평균 수입액 변화: 2021: 780백만원 2022: 870백만원 (+11.5% 증가)

신발 부분품 임가공 부문은 사업체 수와 수입액이 모두 증가하고 임가공 수입액이 19.2% 증가했으며, 업체당 평균 수입액도 11.5% 증가함

이는 신발 부분품에 대한 임가공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냄

이일형

지오힐 대표/경남정보대학교 신발패션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