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통계자료

신발통계자료

제목 통계청 전국사업체 조사 2 (등록기준, 1인이상 사업체, 2024년 3월 기준)
작성일 2024-10-29 조회수 356
통계청 전국사업체 조사 2 (등록기준, 1인이상 사업체, 2024년 3월 기준)

2024-10-29 356


통계청 전국사업체 조사 2

(등록기준, 1인이상 사업체, 20243월 기준)

1. 신발산업·대표자성별 사업체수

1)전체 대표자 수

2020: 21,801(남자: 14,998, 여자: 6,803)

2021: 19,519(남자: 13,426, 여자: 6,093)

2022: 18,248(남자: 12,537, 여자: 5,711)

2)주요 내용

남성 대표자 감소: 전체적으로 남성 대표자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특히 신발 도매업과 신발 소매업에서 큰 폭으로 줄어듬

여성 대표자 변화: 여성 대표자도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일부 산업에서 여성 대표자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

산업별 패턴: 특정 산업에서는 남녀 모두 감소하는 반면, 일부에서는 남성이나 여성 한쪽만 변화하는 패턴이 확인 됨

전반적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대표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성 대표자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남

3) 산업별 상세 분석

1.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

남성: 144명 감소 (-6.0%), 여성: 47명 증가 (+18.7%)으로 남성 대표자는 감소했지만 여성 대표자는 증가하는 특이한 패턴을 보임

2. 구두류 제조업

남성: 147명 감소 (-12.7%), 여성: 37명 감소 (-11.7%) 남녀 모두 감소했으며, 특히 남성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남

3. 기타 가죽제품 제조업

남성: 24명 증가 (+9.8%), 여성: 5명 감소 (-2.8%) 이 산업에서는 남성 대표자가 증가한 반면, 여성은 소폭 감소함

4. 기타 신발 제조업

남성: 7명 감소 (-1.6%), 여성: 7명 감소 (-4.8%) 남녀 모두 소폭 감소했으며, 특히 여성의 감소율이 높게 나타남

5. 신발 도매업

남성: 427명 감소 (-20.7%) 여성: 134명 감소 (-17.2%) 남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특히 남성의 감소폭이 더 큼

6. 신발 부분품 제조업

남성: 19명 감소 (-2.2%), 여성: 10명 감소 (-3.5%) 전반적으로 소폭 감소했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보임

7. 신발 소매업

남성: 1,741명 감소 (-22.2%), 여성: 946명 감소 (-19.5%)

전체적으로 큰 폭의 감소세가 관찰되었으며, 남녀 모두 비슷한 추세로 감소함

 

2. 신발산업 산업별 성별 종사자 수

1) 전체 종사자 수

전체: 47,585

남자: 27,486

여자: 20,099

2) 주요 내용

전체 종사자 중 남성이 약 57.8%, 여성이 약 42.2%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 종사자가 여성보다 약 7,387명 더 많으며, 특히 제조업 및 도매업 부문에서 남성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대표자 산업별 연령별 변화

 

1)전반적인 추세

젊은 층(29세 이하): 대부분의 산업에서 29세 이하의 대표자 수는 소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다른 연령대에 비해 비율이 낮았고 특히,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에서 29세 이하의 대표자가 54.5% 증가해 상대적으로 큰 증가율을 보임

중간 연령대(30~49): 30-39세와 40-49세 연령대의 대표자 수는 산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일부 산업에서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구두류 제조업과 신발 도매업 등에서 40~49세 대표자가 감소한 것이 두드러짐

장년층(50~59): 전반적으로 50~59세 연령대의 대표자 수가 감소하였으며 대표적인 예로 신발 도매업과 신발 소매업에서 해당 연령대의 대표자가 줄어드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음

고령층(60세 이상): 60세 이상 대표자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은퇴 연령 이후에도 활동하는 대표자가 많아졌음을 시사함

 

2)산업별 주요 변화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 모든 연령대에서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젊은 층(29세 이하)과 고령층(60세 이상)의 대표자가 증가한 반면, 중간 연령대(40~59)에서는 감소하는 추세임

신발 소매업: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며, 특히 30~49세 연령대에서 감소폭이 컸습니다. 다만, 60세 이상 대표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고령층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구두류 제조업: 50~59세의 감소폭이 눈에 띄며, 젊은 층의 참여가 미미합니다. 고령층에서도 대표자 수가 줄어드는 추세로 보임

3) 결론

세대 교체의 지연: 신발 제조업 및 관련 산업에서 젊은 층의 대표자 증가가 뚜렷하지 않아, 새로운 세대의 진입이 더딘 것으로 보임

고령 대표자 증가: 은퇴 연령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는 고령층이 늘어나고 있어, 산업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함

산업별 차별화된 대응 필요: 각 산업의 연령대별 변화 양상이 달라, 산업별로 세대 간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정책이나 지원이 필요할 수 있음

 

 

통계청 중소제조업직종별 임금조사

 

1. 직종별 주요 변화

재단사: 2023년에는 2020년에 비해 2,032명 감소하여 약 2% 감소함

패턴사: 7,134명 증가하며 약 5.5%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재봉사: 2,460명 감소하여 약 2.6%의 감소율을 나타냄

재봉기능원: 655명 감소했으며, 감소율은 0.8%로 비교적 적은 변동을 보임

모피가죽제조원: 5,786명 증가하여 약 5.9%의 증가율로 상승세를 보임

2. 특이사항

제화원: 2021년과 2022년의 데이터가 누락되어 분석이 어려웠지만, 2023년에는 2020년에 비해 증가한 수치를 보임

신발제조기조작원: 감소세에서 2023년에 다시 회복되었으며, 2020년 대비 약 1.4% 증가함

 

이 분석을 통해 패턴사와 모피가죽제조원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재단사와 재봉사 등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산업의 변화나 수요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보임

 

 

이일형: 지오힐 대표/경남정보대학교 신발패션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