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통계자료

신발통계자료

제목 가죽 및 신발산업동향 1 (경기동향, 생산, 수요)
작성일 2024-08-28 조회수 1115
가죽 및 신발산업동향 1 (경기동향, 생산, 수요)

2024-08-28 1115


가죽 및 신발산업동향 1

 

본 자료는 산업연구원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 중인 산업통계 및

동향분석기반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된 산업통계분석 시스템(ISTANS: Industrial Statistics Analysis System)을 

활용하여 작성된 보고서를 근간으로 가죽 및 신발 제조업의 산업동향을 정리한 내용임.

 

   1) 경기동향 지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동향조사 

2020=100기준

 

생산지수와 출하지수: 2018년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특히 2023년과 20241분기에는 큰 폭으로 감소함. 이는 생산과 출하 활동이 전반적으로 약화되었음을 의미

 

재고지수: 2018년 이후 변동을 보이며, 2020년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최근 재고지수는 다시 높아져 2023년에 크게 증가함. 이는 수요 대비 공급의 과잉 가능성을 시사함.

  

가동율지수: 2023년 이후 급격한 감소됨. 이는 생산설비의 가동이 줄어든 것을 의미하며, 생산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큼.

 

생산능력지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21년 이후로는 급격히 떨어짐. 이는 생산 설비의 효율성이나 확장이 제한되고 있음을 시사함.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생산과 운영 지수가 낮아지고 있어 경영 환경의 어려움이나 수요 약세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음

 

2)생산 (광업,제조업조사 기준)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1)종사자 10인 이상 사업체 기준

2)2010년과 2015년은 통계청 경제총조사 데이터를 활용함

생산비중 : 제조업내에 해당 산업의 비중

 

생산 및 부가가치: 1995년 이후 생산량은 변동을 보이면서 2020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과 2022년에는 약간 회복되었으며. 부가가치도 생산과 비슷한 추세를 보이며 2015년 이후로 감소했다가 최근 소폭 증가함.

 

생산 비중: 19951.5%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 이후 0.2%로 낮아지고, 이는 전체 산업 내에서 해당 생산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함.

 

부가가치율: 대체로 37~40% 사이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부가가치율은 큰 변동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3)수요

                                                                                                                                                                   단위: %, 십억원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1)최종 수요항목의 기타는 재고증감과 귀중품순취득을 포함함

2)총산출액은 자가공정산출을 포함

3)중간수요란 각 산업 부문에서 생산을 위해 중간재로 수요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함

 

중간수요와 민간 소비: 중간수요는 변동을 보이면서 2020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보이며, 민간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소비자의 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음을 나타냄

 

수출: 수출은 1995년 이후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20년에는 13.6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함

 

총 산출: 총 산출은 민간과 정부 소비의 영향을 받으며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입니다. 특히 2019년 이후 감소세가 뚜렷해져 경제 활동의 위축을 시사함

총산출액: 총산출액은 2015년에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전환됨. 이는 전반적인 경제 활동의 감소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생산성 감소 또는 수요 부진의 결과일 수 있음

 

한국은행의 2020년 산업연관표 기준 신발제조업의 수요의 경우 중간수요 36.2%, 민간소비 54.1% 수출 10.4%이며, 공급은 총산출 40.4%,

 수입53.5% 잔폐물이 6.0%로 나타남. 2020년 기준 총산출액은 28,200억으로 나타남

 

                                                                                                                                                                     단위: %, 십억원



한국은행, 2020년 산업연관표

 

 

가죽·신발 제조업의 국내시장규모는 200039940억에서 2020133200억으로 성장함.

                                                                                                                                                                            단위:십억원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이일형

지오힐 대표

경남정보대학교 신발패션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