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통계자료
제목 | 산업동향(경기, 생산, 수요) | ||
작성일 | 2023-11-29 | 조회수 | 1165 |
산업동향(경기, 생산, 수요)
2023-11-29 1165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산업연구원 [산업통계분석시스템(ISTANS)]을 참고하여 작성
1) 경기동향 지수
가죽·신발의 경기동향과 관련된 지수를 살펴되면 2020년을 10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023년 1분기 생산지수는 83.7로 하락하였으며, 출하지수는 77.1, 재고지수는 74.1, 가동율지수는 74.5, 생산능력지수는 87.1로 하락하였다.
내역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1분기 |
생산지수 | 169.0 | 146.9 | 100.0 | 101.6 | 102.0 | 83.7 |
출하지수 | 168.5 | 147.0 | 100.0 | 94.3 | 92.8 | 77.1 |
재고지수 | 113.1 | 91.5 | 106.7 | 92.7 | 80.0 | 74.1 |
가동율지수 | 110.6 | 112.5 | 100.0 | 101.9 | 104.8 | 74.5 |
생산능력지수 | 146.6 | 112.1 | 100.0 | 94.8 | 88.1 | 87.1 |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동향조사
2020년=100기준
2)생산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 기준 가죽·신발 제조업의 생산은 1995년 5조 5830억에서 2019년 8조 3750억으로 증가하였으나 제조업내에서의 생산비중은 1995년 1.4%에서 2019년 0.5%로 감소함.
산업의 부가가치는 1995년 1조6040억에서 2019년 1조 2420억으로 감소하였고, 부가가치율도 동기간 28.7%에서 14.8%로 감소함
내역 | 1995년 |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19년 | 단위 |
생산 | 5,583 | 5,689 | 4,718 | 6,755 | 11,527 | 8,375 | 10억 |
생산비중 | 1.4 | 0.9 | 0.5 | 0.4 | 0.7 | 0.5 | % |
부가가치 | 1,604 | 1,527 | 1,292 | 1,452 | 1,496 | 1,242 | 10억 |
부가가치율 | 28.7 | 26.8 | 27.4 | 21.5 | 13.0 | 14.8 | %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생산비중 : 제조업내에 해당 산업의 비중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기준(10인이상 사업체) 가죽·신발 제조업의 생산은 1995년 5조 1200억에서 2019년 2조 8570억으로 감소하였고 제조업내에서의 생산비중은 1995년 1.5%에서 2019년 0.2%로 감소함.
산업의 부가가치는 1995년 1조9960억에서 2019년 1조 5880억으로 감소하였고, 부가가치율은 동기간 39.0%에서 41.7%로 감소함
내역 | 1995년 |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19년 | 단위 |
생산 | 5,120 | 5,036 | 3,671 | 4,694 | 3,804 | 2,857 | 10억 |
생산비중 | 1.5 | 0.9 | 0.5 | 0.3 | 0.3 | 0.2 | % |
부가가치 | 1,996 | 1,868 | 1,417 | 1,780 | 2,061 | 1,588 | 10억 |
부가가치율 | 39.0 | 37.1 | 38.6 | 37.9 | 36.4 | 41.7 | % |
통계청 광업제조업 종사자 10인이상 사업체 기준
생산비중 : 제조업내에 해당 산업의 비중
3)수요
가죽·신발제조업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준으로 중간수요는 1995년 32.7%에서 2019년 30.3%로 감소, 민간소비는 25.5%에서 51.2%로 증가, 수출은 41.0%에서 17.4%로 감소함
공급은 1995년 총산출 80.3%에서 2019년 42.3%로 급감하였고, 수입은 19.7%에서 52.6%로 급증함. 총산출은 1995년 5조 5830억에서 2019년 8조 3750억으로 증가함.
단위: %, 십억원
년도 | 총수요 | 총수요=총공급 | 총공급 | 총 산출액 | ||||||||
중간수요 | 최종수요 | 총 산출 | 수입 | 잔폐물 | ||||||||
민간소비 | 정부소비 | 민간투자 | 정부투자 | 수출 | 기타 | |||||||
1995 | 32.7 | 25.5 | 0.0 | 0.0 | 0.0 | 41.0 | 0.9 | 100.0 | 80.3 | 19.7 | 0.0 | 5,583 |
2000 | 27.6 | 28.6 | 0.0 | 0.0 | 0.0 | 43.5 | 0.4 | 100.0 | 80.5 | 19.5 | 0.0 | 5,689 |
2005 | 28.8 | 49.6 | 0.0 | 0.0 | 0.0 | 21.1 | 0.6 | 100.0 | 62.2 | 37.8 | 0.0 | 4,718 |
2010 | 35.7 | 44.0 | 0.0 | 0.0 | 0.0 | 18.3 | 2.0 | 100.0 | 59.3 | 40.7 | 0.0 | 6,755 |
2014 | 34.3 | 42.8 | 0.0 | 0.0 | 0.0 | 22.9 | 0.0 | 100.0 | 56.2 | 43.8 | 0.0 | 8,846 |
2015 | 30.6 | 31.4 | 0.0 | 0.0 | 0.0 | 36.8 | 1.1 | 100.0 | 60.4 | 39.6 | 0.0 | 11,527 |
2016 | 32.2 | 39.3 | 0.0 | 0.0 | 0.0 | 28.0 | 0.5 | 100.0 | 53.8 | 42.4 | 3.8 | 10,362 |
2017 | 32.9 | 47.5 | 0.0 | 0.0 | 0.0 | 19.3 | 0.2 | 100.0 | 47.4 | 48.1 | 4.5 | 8,428 |
2018 | 31.6 | 49.0 | 0.0 | 0.0 | 0.0 | 19.1 | 0.3 | 100.0 | 45.5 | 49.8 | 4.7 | 8,498 |
2019 | 30.3 | 51.2 | 0.0 | 0.0 | 0.0 | 17.4 | 1.1 | 100.0 | 42.3 | 52.6 | 5.1 | 8,375 |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1)최종 수요항목의 기타는 재고증감과 귀중품순취득을 포함함
2)총산출액은 자가공정산출을 포함
3)중간수요란 각 산업 부문에서 생산을 위해 중간재로 수요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함
한국은행의 2019년 산업연관표 기준 신발제조업의 수요의 경우 중간수요 34.5%, 민간소비 51.4% 수출 12.4%이며, 공급은 총산출 44.8%, 수입 49.2% 잔폐물이 6.0%로 나타남. 2019년 기준 총산출액은 3조 4560억으로 나타남
단위: %, 십억원
| 총수요 | 총수요=총공급 | 총공급 | 총산출액 | ||||||||
중간수요 | 최종수요 | 총산출 | 수입 | 잔폐물 | ||||||||
민간소비 | 정부소비 | 민간투자 | 정부투자 | 수출 | 기타 | |||||||
신발 | 34.5 | 51.4 | 0.0 | 0.0 | 0.0 | 12.4 | 1.7 | 100.0 | 44.8 | 49.2 | 6.0 | 3,456 |
한국은행, 2019년 산업연관표
가죽·신발 제조업의 국내시장규모는 2000년 3조 9940억에서 2019년 15조 3350억으로 성장함
단위:십억원
2000 | 2005 | 2010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3,994 | 5,990 | 9,308 | 10,709 | 11,600 | 12,139 | 12,062 | 13,154 | 13,537 | 14,233 | 15,335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통계목적으로 인해 2010년 이전과 이후 통계의 일관성이 없을 수 있음.